반응형
정년이 보장되면 부패나 비리 가능성이 커질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해줄게.
천천히 설명해줄게 꼭들어봐
1. 자리 보전 = 책임 회피 가능성
정년이 딱 정해져서 보장되면,
“나는 어차피 잘릴 일 없어”라는 안이한 마음이 생기기 쉬워.
그러면 일에 대한 책임감이 줄어들고, 비리가 생겨도 처벌이 약할 수 있어.
✅ 정년 보장이 부정부패와 연결되는 구조
- 실제 사례: 노사민정 국비 부정 사용
공무원과 공공기관 내의 부정부패 사례는 적지 않지만,
제대로 조사하거나 처벌되지 않고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 사례 요약:
- 노총이 참여해 설립한 노사민정 공공기관에서
- 노총이 노사민정 국비카드로 지출함 (에터미 및 홍보물품 제작)
- 왜 가능했나?
👉 노총 관련 인물들이 국장, 처장, 사무국장 자리를 맡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
👉 심지어 정년퇴직자나 노총과 관련자를 계약직으로 채용해서 가능
👉 국민 세금으로 월 400만원 이상 급여를 지급 중핵심 문제
- 이런 구조가 가능한 이유는,
→ 정년 보장 이후에도 공공기관을 활용한 자리 만들기가 이루어지고
→ 내부 인맥 중심의 폐쇄적인 인사 운영이 유지되기 때문에 오히려 한국 사회에서 정년 보장은 조금 더 신중히 다뤄야 할 것으로 보여져
2. 감시 어려움
오래 일하는 고위직일수록 조직 내부의 권력과 정보를 많이 갖고 있어.
그런 사람들이 자리를 오래 지키면, 외부 감시가 힘들어지고,
자기 사람들만 챙기거나, 부정한 일들을 은밀하게 하기 쉬워져.
3. 조직 내 고인 물 문제
정년이 보장되면, 성과가 없어도 계속 자리 보전이 되잖아?
그러면 조직이 유연하지 못하고, 변화에 저항하게 돼.
이런 분위기에서 부패가 생겨도 덮고 넘어가는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어.
4. 공공기관·정부 조직에서 특히 심각
이 문제는 공기업, 공공기관, 정부 부처 같은 곳에서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어.
왜냐하면 성과보다 연공서열이 중요한 조직일수록,
정년 보장이 권력처럼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야.
결론
정년 보장이 무조건 부패를 만든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제대로 된 평가나 감시 시스템 없이 정년만 늘리면
부패, 비리의 온상이 될 위험이 충분히 있어.
반응형
'📰 사회·경제 인사이트, 세상 흐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국민의힘 대선 후보들의 이력 분석 (1) | 2025.04.10 |
---|---|
차기 대선 후보, 국민의 선택은 누구인가? (2) | 2025.04.10 |
정년보장 이대로 괜찮은가? (1) | 2025.04.01 |
장제원 전 의원 사망…성폭력 수사 중 유서 남기고 숨진 채 발견 (2) | 2025.04.01 |
숙취 해소제 절반, 효과 없었다? 식약처 효능 검사에 줄줄이 포기 (1) | 2025.03.26 |